1.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것이라는 건 다들 알고 계시죠? 물가가 오프면 기업들은 상품이 비싼 가격에 팔리니 실적이 좋아지고 개인의 소득도 늘어날 수 있으며 시장에 돈이 풀리고 경기가 활발하게 돌아가는 것을 뜻해요.
경제성장으로 경기가 활성화되며 실업자의 수가 감소할 수 있어요. 반만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인 금융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성장과 안정은 상충관계예요
2.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stagflation)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그런데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 오르는데 오히려 경기가 침체되는 것을 말합니다. 스트레스 지수 고통지수가 높다는 뜻이죠. 온 나라가 스태그 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는 이유는 진짜로 물건이 없어서 생긴 현상이기 때문이죠.
기후변화로 농산물 수확인 점점 줄어들고 어업이나 축산업도 전염병으로 폐사해 생산량이 적은 데다가 물류 운반 등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 물건이 귀해지면서 물가가 오르고 그래서 경기침체가 되는 것을 말해요.
도로공사, 공장기계, 자동차 모든 동력장치에는 원유가 필요해요. 우리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급격한 원유가의 상승으로 인한 비용 인상이 경제의 총체적인 공급을 위축시켜 발생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원 곡물과 같은 원자재의 가격 인상에 따른 공급 충격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우리나라의 영향
우리 나가는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데다가 수출품의 원자재나 중간재를 거의 수입해 오기 때문에 전 세계의 인플레이션은 우리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당장 먹거리 물가가 가장 큰 문제이고 체감 경기에 영향을 끼 지죠. 우리나의 곡물 자급률은 21프로이며 전체 자급률은 45프로에 불과해요.
인플레이션이 왔을 때는 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경기 침체가 오는 스테그플레이션은 정책적 대응 방안이 필요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4. 스태그플레이션 해결방안
가장 좋은 방안은 기술혁신입니다. 기술혁신으로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오면 상품 생산 원가를 감소시켜 상품 가격의 인하를 가져오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가 증대됩니다.
5. 스태그플래시션 수혜주
안정성에 기반을 둔 주식, 금, 원자재, 리츠(부동산)가 되겠습니다.
'생활정보 > 정치,경제,시사,정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부터 모든 사업장 가족돌봄 등 단축근무 요구 가능 (0) | 2021.12.27 |
---|---|
화이자 먹는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 안전성/복용방법/투약대상/ 언제부터? (0) | 2021.12.27 |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백만원 지급 신청 대상과 방법 (0) | 2021.12.27 |
창동 2번 출구 임시주차장 코로나 선별진료소 /강북구,노원구,도봉구 선별진료소 비교 (0) | 2021.12.27 |
메타버스로 컴백하는 싸이월드/ 메타버스란? (0) | 2021.12.24 |
넷플릭스 가격 인상 / 우리나라만? 인도는 가격 하락 (0) | 2021.12.24 |
금리란? /기준금리 오르면 / 미국 통화정책 (0) | 2021.12.24 |
이석기 석방/ 내란음모죄란 /이석기 정리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