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통화정책
미국이 긴축 통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어요. 통화정책이란 ? 은행이 시장에 돈을 얼마나 더 풀 것인지 혹은 시장에 풀린 돈을 얼마나 거둘지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입니다. 돈을 더 찍어내기도 하고 채권을 직접 매입하기도 하는 방법으로 금리를 조정해서 돈이 도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 보다 더 빨리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맞춰둬야만 환율이 크게 오르지 않기 때문이예요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정부와 은행이 시장에 돈을 소극적으로 푼다는 뜻입니다. 대출금리를 올리고 신용심사를 까다롭게 한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2. 금리란 ?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를 비율로 표시한 것으로 쉽게 말해 이자율이라는 뜻입니다.
금리부담이 크다는 말은 대출에 대한 이자비율이 높다라는 뜻이예요
금리가 내려가면 이자소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려워지고 돈을 빌려 사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환영을 받아요.
금리도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데 통화정책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일정한 부분으로 결정하는 것을 기준 금리라고 해요
3. 금리변동과 경제 영향
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가치가 높아져요.
그러면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의 값어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합니다. 현금을 갖고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가 더 많아진다는 뜻이기도 해요.
은행주나 증권주는 언제 오르냐고 묻는 다면 기준금리가 오를 때라고 답할 수 있어요. 이자율이 오르면 은행의 수익이 늘어나고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주가 상승합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 정치,경제,시사,정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동 2번 출구 임시주차장 코로나 선별진료소 /강북구,노원구,도봉구 선별진료소 비교 (0) | 2021.12.27 |
---|---|
스태그플레이션 원인과 방안 그리고 관련주 (0) | 2021.12.27 |
메타버스로 컴백하는 싸이월드/ 메타버스란? (0) | 2021.12.24 |
넷플릭스 가격 인상 / 우리나라만? 인도는 가격 하락 (0) | 2021.12.24 |
이석기 석방/ 내란음모죄란 /이석기 정리 (0) | 2021.12.24 |
경제지표 이해하기 내구재와 준내구재로 경기흐름을 읽어보자 (0) | 2021.12.24 |
박근혜 대통령 특별사면/ 건강악화 ? /특별사면이란? (0) | 2021.12.24 |
메리크리스마스 문자 /보다폰 / NFT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