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아파트 '로또 청약'할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본사항, 청약방법

by 아하주 2020. 11. 10.
반응형

아파트 로또 청약할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1. 예치금 

최근 '로또청약' 열풍이 불고 있다. 서울, 하남, 과천, 남양주 등 투기과열 지구 입지 좋은 곳에는 기본 몇백대 1에서 몇천대 1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로 곳곳이 '분양가 상한제' 덕에 로또 청약 열풍이다.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청약에 대해 공부를 해야한다. 빼곡한 모집공고를 보다보면 이미 나는 자격과 기준이 안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그중 청약을 하다면 기본이 되는 조건 하나가 예치금이다. 지역별과 면적별로 예치금의 기준은 다르다. 모집 공고일까지 예치금은 반드시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공고가 나더라도 늦지는 않다. 기준은 모집공고일까지이기 때문이다. 

 

 

아래표를 참고하면 쉬울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85제곱미터 이하의 집에 청약할 예정이고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면 청약예치금은 300만원만 있으면 된다. 만약 135제곱미터 이하에 청약을 할 것이고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면 예치금은 천만원이 있어야 한다. 

예치금의 기준은 내가 신청하려는 아파트 지역 기준이 아니고 내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지역별 예치금 기준이된다. 

 

 

 

예치금이 부족하다면 청약 통장에 예치금을 송금하면 된다. 예치금은 단순히 예치되어 있는 금액이다. (인정금액은 내가 매달 납부한 금액이 된다. 매달 납부금액은 월 10만원까지 인정이된다) 

예를 들어 내가 매월 10만원씩 2년간 납부했다면 인정금액은 240만원이 된다. 지역별 예치금을 충족시키기 위해 서울거주한 상태에서 85제곱미터 이하의 집을 청약하기 위해서는 예치금이 300만원이 있어야 하므로 60만원을 더 송금시키면 되는 것이다.  

 

 

2. 청약통장 가입기간 

청약통장의 가입기간 또한 중요하다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 지역은 가입후 2년이 경과해야만 신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 대부분이 투기과열 및 청약과열 지역이기 때문에 청약통장 가입이 2년이 경과하였고 납입횟수가 24회 이상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3.나의 가점 

 

자신의 가점은 청약을 신청할때 사용하는 청약홈이나, 분양줍줍, 분양알리미 등 각종 싸이트에서 쉽게 가점계산을 해 볼 수 있다. 가점은 주로 무주택기간 (최대 15년 이상인 경우 32점), 부양가족수 (최대 6명까지 만점 35점),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5년 이상 만점 17점)으로 계산이 된다. 

나의 가점이 낮거나, 1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면 85제곱미터 이상의 물량 중 추첨제 물량을 노리면 된다.

 

 

비록 확률은 낮지만 청약신청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4.공고일과 접수일 

 

 

 

항상 공고일과 접수일을 확인하여야 한다. 모든 신청조건의 기준은 공고일이 된다. 공고일까지 세대주, 예치금을 맞춰놔야 하며 접수일도 특별공급 하루, 다음날 1순위 대상 하루뿐이기 때문에 틈틈히 살펴보지 않으면 놓칠 수 있다. 공고 조회는 청약홈 오른쪽 상단에 청약일정 및 통계->분양정보 -> 아파트  순으로 클릭하면 볼 수 있고

청약홈

공인인증서로 회원가입을 해 놓으면 관심지역 공고가 났을 때 알림으로 받아 볼 수도 있다

 

반응형
아파트 '로또 청약'할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본사항, 청약방법 아파트 로또 청약할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1. 예치금 최근 '로또청약' 열풍이 불고 있다. 서울, 하남, 과천, 남양주 등 투기과열 지구 입지 좋은 곳에는 기본 몇백대 1에서 몇천대 1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로 곳곳이 '분양가 상한제' 덕에 로또 청약 열풍이다.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청약에 대해 공부를 해야한다. 빼곡한 모집공고를 보다보면 이미 나는 자격과 기준이 안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그중 청약을 하다면 기본이 되는 조건 하나가 예치금이다. 지역별과 면적별로 예치금의 기준은 다르다. 모집 공고일까지 예치금은 반드시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공고가 나더라도 늦지는 않다. 기준은 모집공고일까지이기 때문이다. 아래표를 참고하면 쉬울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85제곱미터 이하의 집에 청약할 예정이.. 2020. 11. 10.

댓글